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물리치료 해부학의 정의와 조직

by My두 2024. 2. 1.

해부학이란 생물의 구조와 생물의 상태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이 분야의 경우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굉장히 오래된 학문입니다. 해부학은 생물학, 발생학, 비교해부학, 진화 생물학, 계통발생학을 거쳐서 서로 이어져 있습니다.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해부학과 생리학은 때때로 같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인간의 해부학은 의학에 쓰이는 없어선 안될 기초과학 입니다.

 

해부학은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로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고, 진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몇년간 신체의 구조를 더 세밀하고 정학하게 볼 수 있는 기술사용이 크게 증가되었습니다. 바로 MRI와 CT같은 영상기술 입니다. 해부학의 학문은  인체의 장기와 구조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그 중점을 둡니다. 

 

정의

해부학은 인체내의 시스템, 장기, 조직 등의 구조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말합니다.

해부학은 생리학과 생화학과는 다릅니다. 생리학자는 기능과 관련된 화학적 과정을 다루고 장기내 물질의 생성이나 조절에 중점을 두고있다면 해부학자는 장기의 모양, 위치, 구조, 크기에 중점을 두고있다는 점이 다른점 입니다.

 

해부학이라는 학문은 눈으로 보는 육안 해부학, 현미경을 통해 조직이나 아주작은 규모의 구조를 연구하는 현미경 해부학, 특정 신체에 있는 구조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국소해부학, 신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같이 사용되는 부분을 묶어 연구하는 전신하부학 등으로 나누어 지고 있습니다.

 

해부학은 보통 인간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동물계에도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예외도 있습니다. 식물의 경우에는 구조와 조직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따로 분류되어 연구되어지고 있습니다. 

 

조직

결합조직

결합조직은 섬유질이 주성분이며 장기의 형태를 주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유형으로는 느슨한 결합조직, 지방조직, 연골, 뼈와 같은 구조물을 말하며 보통 단백질이 가장많고 콜라겐이 풍부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때 콜라겐은 조직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에 조직에서는 꼭 필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피조직

상피조직은 세포간의 간격이 거의 없고 밀접하게 붙어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피는 특이하게도 기능에 맞게 변형된 곳이 많이 존재하는데 호흡기에는 섬유상피, 소장에는 미세융모, 대장에는 장 융모로 변형되어 나타납니다. 신체의 외부 표면에도 있는 상피세포는 편평상피세포라는 구조로 신체 외부를 덮고 있는데 보통 각질화되어 바깥층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때 각질화된 세포는 피부세포의 95%까지 구성되어 집니다. (큐티클 형태)

 

근육조직

근육세포는 신체의 수축조직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힘을 내거나 운동,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기능도 하고있습니다. 또한 내부장기에서도 움직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통 근육은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고 평활근, 골격근, 심장근으로 분리되어 구분하고 있습니다. 평활근의 경우 줄무늬가 없는 근육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근육은 천천히 수축하지만 늘어나는 길이에 맞춰 수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자궁과, 방광, 장, 위, 혈관같은 벽이 이런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골격근은 빠르게 수축하는 역할을 하고있지만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심장근육의 경우에는 심장에서만 발견되고 강한 수축으로 혈액을 몸 전체에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신경조직

신경조직은 많은 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통은 정보를 전달하는 물체, 뉴런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보통 인체에서는 특수수용체가 감각기관을 이루고 있고,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중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에서 뻗어나와 손끝, 발끝까지 이어지는 신경계를 말하는데 이는 감각을 전달하고 근육을 제어하는 체성신경계, 위나 장기같은 내장기관을 무의식적으로 제어하는 자율신경계로 나누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