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치료학

물리치료 해부학적 자세와 움직임

by My두 2024. 2. 2.

해부학적 자세라는것은 무엇일까요?

 

"해부학적 자세"라는 것은 인체의 위치, 해부학적 모델을 과학적으로 합의하여 기준으로 삼기위한 참조 위치입니다.

해부학적 자세는 부속물의 위치나 어떠한 한부분의 위치를 표준화 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의학분야에서 신체의 위치에 대한 모든 표시를 해부학적 자세를 기반으로 시작 됩니다.

 

자세잡기

해부학적 자세에서 사람은 바르게 서 있습니다. 발은 모으고, 손바닥이 앞을보고, 팔꿈치 오금이 앞을 보고, 엄지는 몸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합니다. 또한 팔은 약간 벌려서 몸에 붙지 않게 서있어야 합니다.

 

인체는 3차원적인 공간에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세, 움직임을 설명할때에도 3차원적으로 설명을 해야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자세에 면과 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면의 종류에는 시상면과 관상면, 수평면이 존재합니다.

시상면은 인체를 좌우로 나누게 되는 가상의 면 입니다. 인체를 좌, 우 측면에서 본 모습을 의미하고있습니다.

관상면은 인체를 전후로 나누게 되는 가상의 면 입니다. 인체를 정면 뒷면에서 본 모습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수평면은 인체를 상하로 나누게 되는 가상의 면 입니다. 인체를 위에서, 아래에서 본 모습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축의 종류에도 시상축, 관상축, 수직축이 존재합니다. 이 축은 면의 직각방향으로 축을 꽂아 움직이는 기준이 되며 보통 관절면의 중심부에 중심축으로 움직임을 보고 있습니다.

시상축은 관상면에 대한 운동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관절의 정면부분에 축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견관절의 외전과 내전이 이에 해당합니다.

관상축은 시상면에 대한 운동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관절의 측면에 축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견관절의 굴곡과 신전이 이에 해당합니다. 

수직축은 수평면을 위에서 아래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어깨관절의 위쪽에서 아래로 축을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견관절의 회전이 이에 해당합니다.

 

해부학적 움직임

해부학적움직임도 자세와 마찬가지로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한 사람들의 약속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움직임은 장기, 관절, 팔, 다리 움직임을 말합니다. 이때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움직임을 설명하기 때문에 움직임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자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보통 동작은 굴곡과 신전, 외전과 내전, 외회전과 내회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외에도 편위, 견갑골 운동동작,내번, 외번 등 여러가지용어와 움직임 또한 존재합니다. 

 

굴곡(Flexion)

분절과 가까운 분절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는 동작입니다. 예를들면, 해부학적 자세를 기준으로 목의 경우 앞으로 숙이는 것을 말하며, 몸통의 경우 몸통숙이기, 어깨나 엉덩이의 경우에는 앞으로 들기, 무릎의 경우에는 접기등이 있습니다. 

 

신장(Extension)

분절과 가까운 분절사이의 각도가 커지는 동작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곱게 펴는 동작으로 굴곡과 반대되는 동작입니다. 

예를들면, 목 뒤로 젖히기, 몸통의 경우 뒤로 젖히기, 어깨나 엉덩이 뒤로 피기, 무릎피기 등이 있습니다. 보통 스트레칭을 할때 "신장한다" 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처럼 늘린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동작입니다. 

 

 외전(Abduction)

외전은 신체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작입니다. 손가락의 경우 3번째 손가락이 중심선이 되는데 이 손가락을 기준으로 벌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깨의 경우 앞으로 드는것을 굴곡이라고 했을때 신체 중심선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정면에서 봣을때 멀어지는 동작, 즉 옆으로 벌리는 동작이 이 외전에 해당됩니다.  

 

내전(adduction)

내전은 신체중심선으로 가까워지는 동작입니다. 손의 경우 모으는 형태이고, 어깨의 경우에도 몸에 붙이는 행위, 무릎을 모으는 행위도 전부 내전에 해당됩니다. 

 

외회전(External Rotation)

인체의 바깥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입니다. 예를들어,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고 있을때 엄지손가락이 바깥쪽을 보고 있습니다. 이때 엄지손가락이 위쪽을 바라보게 하면 어깨에 대한 외회전 동작이 됩니다.

 

내회전(Internal Rotation)

인체의 안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입니다. 예를들어, 팔꿈치를 굽히고 서있는자세에서 손바닥이 몸쪽으로 돌아가면 어깨에 대한 내회전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