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물리치료, 통증물리치료, 물리치료실 전기치료"란 무엇일까요??
전기물리치료란?
일반적으로 흔히 병원에서 물리치료를 받는것은 전기물리치료에 해당됩니다. 이 물리치료는 전기를 이용한 통증감소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치료는 통증신호를 방해하고 뇌에 자극이 도달하는것을 막아 근육에 자극을 주어서 작동하는 것입니다. 일종의 진통제라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일반적인 진통제와는 다릅니다. 왜나하면 약물에 의한( 항염증제, 천연 엔돌핀 등) 치료는 염증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강력한 효과가 있는 반면 물리치료의 경우 중독성이 낮고 건강에 대한 위험은 낮지만 효과가 조금 낮다는 평이 있습니다.
전기물리치료의 종류
전기 물리치료의 기술은 연구 끝에 다양한 방식의 전기치료가 개발되었고, 높고 낮은 주파수에 따라 치료의 효과와 방식을 다르게 적용하는 기술들이 생겨났습니다.
Transcranial electrostimulation(TES) - 경두개 전기자극 치료
TES는 뇌의 전기자극을 통해 β-엔도르핀,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을 방출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이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치료는 엔돌핀의 활성화, 혈액 및 뇌척수액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 엔돌핀은 통증 증후군에 관련된 통증들을 완화시키는데 뛰어난 역할을 합니다. 또한 항우울제 효과, 항스트레스 등 신경 정신병과 관련된 치료에도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있습니다.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 경피신경자극 치료
TENS는 패드를 이용하여 피부에 부착에 말초신경계를 자극하는 치료입니다. 고주파와 저주파로 나누어져 있으며, 치료사에 의해 강도 및 주파수를 조절해 환자에 맞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피신경자극 치료의 경우 통증신호를 차단시키고, 긴장된 근육을 완화하여 통증을 줄여줍니다. 또한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피부와 근육을 자극함으로서 감각변화를 유발시켜 통증경로를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경피신경자극 전기치료는 통증치료의 한 분야이지만 사용해서는 안되는 금기증도 존재합니다. 심박동 조율기, 보청기, 감각이 떨어지는 부위, 임신중인 여성자궁 위, 간질 또는 뇌졸증환자에게는 금기 사항입니다.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ICT) - 간섭파 전류치료
간섭파 전기치료는 진폭 변조원리를 이용한 치료입니다. 서로 다른 주파수(4~250Hz)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신경보다 근육의 자극으로 혈류를 개선시키고 치유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염증과 부종을 완화시켜주고 넓은 부위에 치료가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의원급 치료시설에서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는 치료기구 중 하나입니다.
이외에도 많은 전기치료들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치료는 TENS,ICT치료 입니다.
조작법이 간단한 것도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이유중 하나이지만 부작용이 적다는 점 또한 하나의 이유입니다.
'물리치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증물리치료- 온열치료,냉치료 (0) | 2024.02.07 |
---|---|
다리근육에 대해서 1편(대퇴사두근, 봉공근, 대퇴근막장근) (0) | 2024.02.06 |
도수치료에 대해서. (0) | 2024.02.04 |
정골요법의 변화와 기법 (0) | 2024.02.04 |
물리치료 해부학적 자세와 움직임 (0) | 2024.02.02 |